[체육과 교육학의 구성]
1. 체육 교육학의 구성 요소
체육 교육학은 체육과 교육의 록표론, 체육과 교육의 내용 구조론, 체육과 교육의 교수법, 체육과 교육의 교재론, 그리고 체육과 교육의 평가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체육과 교육학의 상호작용 관계
1) 체육의 목표는 체육과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통해 구체화된다.
2) 내용 구조는 목표에 따라 형성되며, 교수 방법을 통해 평가된다.
3) 체육 교수론과 교재론은 체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용에 기반하여 가르치고 평가된다.
4) 체육 평가는 체육 목표의 달성을 위해 내용이 얼마나 잘 조직되었고, 그에 따라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르쳐졌는지를 반영한다.
[신체적,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별 구성(Annarino)]
1. 신체적 영역의 원리, 내용, 교수 전략 및 평가 간의 관계
1) 원리
① 생리학적 변화의 정도와 형태는 세 가지 변인(강도, 지속 시간, 빈도)에 의해 결정된다.
② 운동 프로그램에서의 강도와 시간은 개인의 차이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③ 다양한 스포츠는 여러 수준의 체력 요소를 요구한다.
④ 콘디셔닝 프로그램의 관리, 설계 및 선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기반해야 한다:
⑤ 이 프로그램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⑥ 신체의 역학적 원리에 어긋나지 않는가?
⑦ 운동에 포함되는 관절군과 근육군은 무엇인가?
⑧ 이 프로그램에서 개인의 출발점에서의 어려움과 운동 강도를 어디에 설정해야 할까?
2) 목표
① 근력
② 근지구력
③ 심폐지구력
④ 유연성
3) 내용
① 일반 운동
② 체조
4) 교수 전략
① 서킷 트레이닝
② 인터벌 트레이닝
③ 웨이트 트레이닝
④ 아이소메트릭 운동
⑤ 미용 체조
5) 평가
팔굽혀 펴기, 윗몸 일으키기, 가슴 들어 올리기, 다리 들어 올리기, 쪼그려 뛰기, 제자리 멀리 뛰기, 600야드 달리기 및 걷기, 45초 달리기, 보폭 측정, 50야드 전력 질주, 왕복 달리기
2. 심동적 영역의 원리, 내용, 교수 전략 및 평가 간의 관계
1) 원리
①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맞게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② 학생들이 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③ 교수 자원 및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④ 각 아동은 개성에 적합한 지속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
⑤ 학습은 학년의 정규 수업 시간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⑥ 한 가지 운동 기능을 익히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⑦ 기능 숙달의 다양한 수준은 학습자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2) 목표
① 지각 운동
② 기본 움직임
③ 스포츠 및 춤 기술
3) 내용
① 발달적 내용
② 기본 움직임 활동
③ 자기 평가 활동
④ 리듬 댄스 활동
⑤ 게임 활동
⑥ 팀 활동
⑦ 이인 활동
⑧ 개인 활동
⑨ 수상 활동
⑩ 야외 교육 활동
4) 교수 전략
강의법, 연습법, 정보 처리 학습, 인본주의, 완전 학습, 시스템 분석, 능력 중심 학습, 과제 직접 지도, 개별화 수업, 과제 학습, 문제 해결 학습, 유도 발견 학습, 움직임 탐구 학습, 계약 학습, 동료 학습, 지시 학습
5) 평가
기능 평가, 체크리스트, 운동 적성 평가, 지각 운동 평가, 상대 평가, 절대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3. 인지적 영역의 원리, 내용, 교수 전략 및 평가 간의 관계
1) 원리
인지적 발달은 6가지 기본 단계로 구성된 학습의 단계이다.
지식 → 이해 → 적용 → 분석 → 종합 → 평가
2) 목표
① 지식
② 사실
③정보
④ 지적 기능 및 능력
3) 내용
① 게임 규칙
② 안전 조치
③ 게임 예절
④ 용어
⑤ 다양한 전략
⑥ 활동 효과
⑦ 판단
⑧ 문제
4) 교수 전략
지시 학습, 과제 학습, 유도 발견 학습, 문제 해결 학습, 완전 학습, 개별화 학습, 정보 처리 학습, 움직임 탐구 학습, 직접 지도, 계약 학습
5) 평가
지필 검사, 관찰 체크리스트, 유도 발견 학습, 등급 척도, 상대 평가, 절대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4. 정의적 영역의 원리, 내용, 교수 전략 및 평가 간의 관계
1) 원리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수 환경을 조성한다.
감수 → 반응 → 가치 확인 → 조직화된 가치 → 상호작용
2) 목표
① 신체 활동에 대한 건강한 반응
② 자아 실현
③ 자아 존중
④ 자아 개념
3) 내용
①긍정적 상호작용
②감상
③즐거움
④신체 인지
⑤포부 수준
⑥자아 지각
⑦감정
⑧사회 적응
⑨태도
⑩가치 분류
⑪스포츠맨십
4) 교수 전략
시범, 게임 시뮬레이션, 역할 놀이, 가치 분류, 움직임 탐구
5) 평가
사회적 행동, 인성 검사, 정의적 행동 도구, 일화 기록법, 체크리스트, 태도 평정 척도, 가치 평가, 자아 개념 척도
[정리]
체육 교육학은 체육과 교육의 이론, 내용 구조, 교수법, 교재론, 평가론으로 구성된다.
체육의 목표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을 통해 구체화되며, 내용 구조는 목표에 따라 형성된다.
신체적 영역은 건강한 인간을 육성하고,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목표로 한다.
심동적 영역은 학생의 능력에 맞춰 발전을 지원하며, 지각 운동 및 기본 움직임을 목표로 한다.
인지적 영역은 지식, 사실, 정보, 지적 기능 및 능력을 중시하며, 6단계 학습 과정을 따른다.
정의적 영역은 건강한 신체 활동 반응과 자아 존중을 목표로 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각 영역의 교수 전략은 다양한 방법론을 포함하며, 교육적 환경 조성을 중요시한다.
평가 방법은 기능 평가, 체크리스트, 지필 검사 등으로 다양하다.
체육 교육은 신체 활동을 통한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며, 사회적 가치도 중시한다.
전체적으로 체육 교육과정은 학생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과교수론-체육과 교육의 목표론① (0) | 2025.01.23 |
---|---|
체육과교수론-체육과 교육학의 이해② (1) | 2025.01.23 |
체육과교수론-근대 체육교육 사상의 개관 (1) | 2025.01.22 |
체육과교수론-근대 체육교육 사상의 변화(20세기 중반 이후) (0) | 2025.01.22 |
체육과교수론-근대 체육교육 사상의 변화(19세기 말과 20세기 초) (2)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