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격의 정의와 구조
1) 성격의 정의
성격은 인간의 행동에서 유추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일관된 반응 경향으로, 개인의 독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Cattell(1956)은 "성격이란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 어떻게 행동할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 Sullivan(1953)은 성격을 '대인 관계 상황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안정적인 양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성격은 "감정, 사고, 행동의 일관된 패턴을 설명하는 개인의 특성(Pervin & John, 1997)"이나 "특정 개인의 신체적 또는 심리적 특성의 독특하고 역동적인 조직(Liebert & Liebert, 1998)" 등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성격은 개인의 발달, 학습, 자각, 기억, 사고, 동기, 정서 등 여러 심리적 과정이 얽혀 형성되는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그 규명은 쉽지 않습니다(박운성, 1994).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독특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안정성과 일관성,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반응이 나타나지만, 이러한 반응 방식에서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인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성격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나열하기는 어렵지만, 각기 특유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성격을 요약하자면 독특성, 일관성, 경향성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성격은 주어진 환경 자극에 대한 독특한 반응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나 상황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이고 일관된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성격은 사고나 감정, 행동 자체라기보다는 그 속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경향성을 의미합니다(김성옥, 2000).
정용각(2005)에 따르면, 성격의 특성은 네 개의 T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적 연구 분야에서 정형화된 이 특성은 정체성(Identity),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s), 내부 결정(Internal determination), 통합된 자아(Integrated self)로 나뉩니다.
행동과 관련된 본성에 의해 형성된 성격은 한 개인의 중요한 정체성 양상을 정의하는 특질(Characteristics)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질은 특성(traits), 스타일(style), 요구(needs), 동기(motivation), 또는 인지(cognitions)로 불리며, 이 용어들은 모두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성격은 개인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하는 개인차를 나타냅니다. 모든 사람들이 일부 방식에서 유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각기 차이가 존재합니다. 동일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느끼는 정도나 대응 방법에는 차이가 있기 마련입니다. 성격은 개인의 내부 인과 소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의 행동 유형이 일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은 사고, 감정, 행동을 조직화하거나 구조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의미 있는 유형으로 맞추려 합니다. 성격은 통합된 개인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2) 성격의 구조
Hollander(1967)에 따르면, 성격은 구조화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심리적 핵, 전형적 반응, 역할 행동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핵 (Psychological Core)**은 성격의 가장 기본적인 수준으로, 말 그대로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개인의 태도, 동기, 흥미, 가치, 믿음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는 진정한 개인의 모습을 나타내며 외부 상황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정청희, 김병준, 2002).
**전형적 반응 (Typical Responses)**은 환경에 대한 적응을 통해 형성된 외부 세계에 대한 반응 양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학습된 것으로, 특정 상황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이 다른 상황에서는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어 과목에 흥미를 느낀다고 해서 체육에서도 흥미를 느낄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즉, 전형적 반응은 상황별로 일관되고 안정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으며, 가식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심리적 핵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할 행동 (Role-Related Behavior)**은 개인이 사회적 역할에 따라 취하는 특정 행동을 의미하며, 이는 가장 표면적인 부분으로 변화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위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이므로 심리적 핵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역할 행동만으로 그 사람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요약하자면, 심리적 핵은 내부 지향적이며 상황이나 시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전형적 반응과 역할 행동은 외부 지향적이며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입니다.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핵을 이해해야 하지만, 이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형적 반응을 통해 그 본성을 유추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현장에서는 선수의 성격을 밝혀내기 위해 성격 검사지를 활용하여 전형적 반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핵을 찾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성격의 측정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MBTI(성격유형검사), MMPI(다면적 인성검사), 애니어그램, NEO(5요인 인성검사=Big-5 모델), 16PF(다요인 인성검사) 등의 도구가 사용됩니다. 16PF(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는 스포츠 성격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집단에 대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론적 구조와 성격 요인들이 Big-5나 MBTI 성격 검사와도 연계되어 있어, 문화 비교적 수준과 다양한 차원에서 선수들의 다면적인 성격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용이합니다(김원배, 성창훈, 2002). 이는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표준화된 성격 측정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격은 '특성'적인 것과 '상황'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특성은 본연의 특징을 의미하며, 상황은 특정한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격을 측정할 때는 성향적인 성격과 상황적인 성격을 구분하고, 그에 맞는 측정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적절한 측정 도구를 사용한 결과만이 그 사람의 성격에 근접할 수 있으며, 성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성적 성격 측정 도구]
* 스포츠 불안 척도(Sport Anxiety Scale: SAS : Smith. Smoll & Schultz, 1990)
* 스포츠 경쟁불안 척도(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Martens et al, 1990)
* 주의력과 상호관계 유형 테스트(Test of Attentional and Interpersonal Style: TAIS; Nideffer, 1976)
* 스포츠 성향 질문지(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 Gill & Deeter, 1988)
* 특성-스포츠 자신감 조사도구(Trait Sport-Confidence Inventory: Vealey, 1986, 1988)
[ 상황적 성격 측정 도구 ]
* 경쟁 상태 불안 조사도구-2(Competition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 Martens et al., 1990)
* 상태-스포츠 자신감 조사도구(State Sport-Confidence Inventory: Vealey, 1986)
스포츠에서 성격과 관련된 검사지는 다양하며, 특성 스포츠 자신감 질문지와 상태 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면 피험자의 안정적인 성격과 상황적 성격을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스포츠에서 성격연구
스포츠 종목에 따라 적합한 성격이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선수를 양성할 수 있다면 스포츠 종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스포츠에서의 성격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Morgan(1980)의 연구에서는 성격과 스포츠 수행 간의 관계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Martens를 비롯한 여러 스포츠 학자들은 성격과 수행 간의 관련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에서 성격과 수행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지만, 스포츠 분야에서 몇 가지 성격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1)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성격비교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구분이 명확하다면, 이들의 성격 비교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운동 수준과 스포츠 참여 정도를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 이들을 비교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Schurr 등(1977)은 스포츠 형태에 따른 선수와 비선수의 성격 특성을 비교하였습니다.
2) 여자선수의 성격특성
대부분의 스포츠 분야에서 남자 선수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김연아 선수나 박세리 선수와 같은 눈에 띄는 여자 선수들도 존재합니다. 선수의 성격 연구에서도 여자 선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Williams(1980)는 여자 운동선수의 성격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우수한 여자 선수는 일반 여성에 비해 성취 지향적이고 독립적이며 공격적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단호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피겨 스케이팅의 김연아 선수는 여러 차례의 인터뷰에서 성취 지향적인 모습과 정서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격은 스포츠 경기 상황에서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스포츠에 잘 적응하는 우수한 선수는 성별에 관계없이 유사한 성격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 성격 비교
우수 선수와 비우수 선수의 성격 특성이 뚜렷하다면, 비우수 선수는 우수 선수의 성격 특성을 모방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고, 우수 선수는 비우수 선수의 특성을 갖지 않도록 노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우수 선수의 성격 특성을 연구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우수 선수와 비우수 선수의 성격 연구 중 가장 주목받는 것은 Morgan(1980)의 빙산형 프로파일(iceberg profile) 모형입니다(그림 2.1 참조). 세계적 수준의 운동선수는 불안이나 신경증과 같은 부정적인 성향에서 비교적 낮은 모습을 보였고, 외향성은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심리적 기분 상태에서 우수 선수들은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감은 낮은 반면, 활력과 같은 긍정적인 요인은 높게 나타났습니다(정청희 외, 2009).
4) 운동과 성격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건강이나 여가 활용 등의 이유로 운동을 합니다.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은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관련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에 따른 행동 변화 및 심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형 행동
A형 행동은 성취 지향적이며 공격적이고, 빠른 일처리와 완벽함을 추구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성공을 위한 도전을 즐기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비치할 수 있지만, 경쟁적 성향으로 인해 분노나 적대감이 발생하여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여유로운 일처리를 하는 사람은 B형 행동으로 분류됩니다. A형 행동을 하는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데, 유산소 운동 등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 증진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Blumenthal 등, 1988).
(2) 자아개념
사람의 성격에는 내적 존재(inner being), 즉 개인이 자신을 보는 방식이 내포되어있으며, 이것은 자아개념(self-concept) 또는 self- image)이라고도 불려진다. Sonstroem(1984)에 의하면 운동은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자신에 대해 좀 더 궁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는 운동이 족
각적인 체력 향상을 도보하기 때문이라기보다 스스로가 체력이 향상되있윤 것이라는
믿음이 자신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자아존중갑이 낮거나 자신에 대
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사람들은 운동을 통해 성격번화에 도움을 준 수 있다.사람의 성격에는 내적 존재(inner being), 즉 개인이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자아 개념(self-concept) 또는 self-image라고도 불립니다. Sonstroem(1984)에 따르면, 운동은 자아 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자신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는 운동이 신체적 체력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만이 아니라, 스스로 체력이 향상되었다는 믿음이 자신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자아 존중감이 낮거나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은 운동을 통해 성격 변화를 도울 수 있습니다.
4. 스포츠에서 성격연구
1) 우수선수의 요건
시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선수를 우수 선수라고 할 K 있는데 우수선수를 만드는 기본 요소는 자기관리'에 있을 것이다. 자기관리는 체력과 기술이 밀바탕이 되어야겠지만 여기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가 인지능력과 정신력 등의 심리적인 영역이다.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 표면적인 영역인 체력이나 기술이 중요한 것은 당연하지만 인지 영역 또한 승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장덕선(1995)은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의 독특한 행동특성과 전략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시합 준비 단계에서 자신의 생활을 철저히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고, 자신과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일지를 적으며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강한 목표 달성의 신념이 있었다. 기대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만 경험에 의해 정신력을 보완하거나 정신적 지주의 도움을 받고 있었으며, 승리의 꿈을 갖고 있었다.
스포츠심리학의 다양한 연구는 우수선수가 인지능력도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인지능력이 뛰어난 선수는 시합에 대해 아주 구체적인 대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세한 시합전략이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인데,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빠르게 찾아내는 능력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순간에 취할수 있는 행동의 대안수가 많으면서도 아주 세부적인 것으로 밝혀졌다(김병준, 2002).
인지능력은 상상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반복되는 연습과 노력이 있어야만 인지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우수선수들이 시합 상황을 구체적으로 머릿속으로 그리는 것이 가능한 것도 그동안 수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대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수선수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영역은 물론 심리적 관리가병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선수를 우수 선수라고 할 수 있으며, 우수 선수를 만드는 기본 요소는 '자기 관리'에 있습니다. 자기 관리는 체력과 기술이 기본이 되어야 하지만, 여기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가 인지 능력과 정신력 등의 심리적 영역입니다.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표면적인 영역인 체력이나 기술이 중요하지만, 인지 영역 또한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장덕선(1995)은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의 독특한 행동 특성과 전략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들은 경기 준비 단계에서 자신의 생활을 철저히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고, 자신과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일지를 작성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강한 목표 달성의 신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대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만, 경험을 통해 정신력을 보완하거나 정신적 지주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승리의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스포츠 심리학의 다양한 연구는 우수 선수가 뛰어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인지 능력이 뛰어난 선수는 경기 상황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대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상세한 경기 전략이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빠르게 찾아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순간에 취할 수 있는 행동의 대안 수가 많으면서도 매우 세부적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김병준, 2002).
인지 능력은 상상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반복적인 연습과 노력이 있어야만 인지 능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우수 선수들이 경기 상황을 구체적으로 머릿속으로 그리는 것이 가능한 것도 그동안 수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수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적 관리도 병행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스포츠 심리학-불안 조절 기법 (0) | 2025.01.14 |
---|---|
현대스포츠 심리학-불안과 스포츠 (2) | 2025.01.13 |
현대스포츠 심리학-동기와 스포츠 (1) | 2025.01.12 |
현대스포츠 심리학-주의와 스포츠 (2) | 2025.01.11 |
현대스포츠 심리학 - 자신감과 스포츠 (2) | 2025.01.10 |